top of page

ASEAN-KOREA
문화예술-산업동향


디지털 리터러시 보고서 (아세안재단, 2024)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상호 연결 관계를 규명하고, 이 두 요소가 아세안 내 저소득층 커뮤니티에서 잘못된 정보에 대한 민감도와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한다.


그린 파파야 아트 프로젝트
그린 파파야 아트 프로젝트(Green Papaya Art Project) 아카이브는 마닐라 대도시의 현대 예술 생태계와 동남아시아 및 전 세계의 예술가, 연구자, 큐레이터와의 협력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현대적) 공예(ASEF, 2020)
창의적 자원 가이드(Creative Resource Guide)는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 공예품과 디자인이 어떻게 사회 변화의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2024 창의경제 전망(유엔무역개발부)
'2024 창의경제 전망'은 유엔무역개발부에서 발간하는 보고서로, 창의적 경제와 국제 무역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창의 산업의 최근 동향과 발전을 다룬다.


유네스코 문화|2030 지표
유네스코 문화|2030 지표는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의 목표 및 세부목표를 국가적, 지역 적 수준에서 이행하는 데 문화가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표 체계


필리핀 국립문화예술위원회(NCCA)
NCCA는 문화, 역사, 유물, 도서, 기록, 언어를 담당하는 6개 국립문화예술 기관과 함께 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구현과 자원의 극대화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 체계 및 공동 책임의 원칙


미얀마의 공동체 미디어의 지속가능성(2020)
본 문서는 유네스코 미얀마의 허가 하에 세계공동체라디오방송연합(AMARC) 아시아-태평양 (1) 이 진행한 미얀마의 공동체 미디어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분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미얀마의 공동체 방송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시, 문화, 창조성 (유네스코 & 세계은행, 2021)
이 보고서는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도시 경쟁력 및 사회적 포용을 위해 도시가 문화 및 창의 산업(CCI)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원칙과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게임-음악 분야 인도네시아 창의경제(ERIA, 2023)
이 연구는 창의 경제에서 음악과 게임분야의 영향력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자, 해당 분야의 경제 활동과 잠재적 성장 영역을 다룬다.


백스테이지: 동남아시아의 창의성과 예술 (2021)
<백스테이지: 동남아시아의 창의성과 예술 관리 Backstage: Managing Creativity and the Arts in SouthEast Asia>는 18개월 동안 여러 개인 및 단체의 지원을 받은 집합적인 노력이었다.


캄보디아 비공식 문화 창의산업 보고서(CICADA, 2024)
문화 및 창의 산업 분야(CCIs,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의 예술가와 근로자는 캄보디아에서 전통 관행과 예술의 보존을 보장하는 동시에 캄보디아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해왔다.


AI 레디 아세안 (아세안 재단, 2024)
AI 레디 아세안은 아세안 재단이 Google.org 의 지원을 받아 아세안 지역 전체에서 AI 리터러시를 구축하기 위해 시작한 지역 이니셔티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