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SEAN-KOREA
문화예술-산업동향


크리에이티브 메콩(2024~2027)
메콩지역의 창의산업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메콩연구소는 3년간의 크리에이티브 메콩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동남아시아의 축제 (2022)
본 보고서는 축제의 동남아시아 지역 창조 경제 전반에서의 역동성과 영향력에 대한 역할을 다룬다. 영국 문화원의 (the British Council) 의뢰를 받아 축제가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창조 경제를 위한 닻이자 촉매제로서 지역 전체에 어떠한 영


메모리! 시네마 (미얀마)
메모리! 시네마 (MEMORY! Cinema)는 2013년에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영화 제작자 교육 및 독립 영화 프로젝트 지원, 문화 접근성 (축제 조직을 통한) 및 한 나라를 기억하는데 있어서 중추적 부분인 영화 유산...


EAPAVAA (동남아시아-태평양 시청각 아카이브 협회)
EAPAVAA(동남아시아-태평양 시청각 아카이브 협회)는 2001년 지역의 협회 중에서 최초로 시청각아카이브즈협의체 운영위원회에 가입했고, 이후 국제적인 협력과 공동의 목표를 위해 유네스코와 운영 관계를 맺고 있다.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위원회
MOWCAP 목적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MOW 프로그램을 추진, 활용, 모니터링하고, 국제적으로 이 지역을 대표하는 것이다. MOWCAP는 무엇보다 이 지역 기록 유산이 국제기록유산 등재 시스템(International MOW Register)에


양곤영화학교 YFS
YFS는 미얀마의 옛 수도 양곤에서 숙련된 영화 제작자와 현지 영화에 관심 있는 젊은이를 대상으로 영화 교육을 진행한다.


베트남 영화 유산에 대한 꿈과 기억 (2019)
2019년 1월 하노이에서 유난히 추웠던 4일 동안 심포지엄, 워크숍, 영화 상영 프로그램이 열렸다. 한 데 모인 다양한 사람들 간의 절충, 서로 나눈 대화, 현실을 탐구하기 위한 일련의 해프닝, 보관되고 기록된 영화에 대한 가능성 고찰, 시대를 관통


인도네시아 시각 예술 아카이브 (IVAA)
인도네시아 시각 예술 아카이브는 문서 작업 및 답사를 통해 예술 기록을 적극적으로 수집하며, 족자카르타의 물리적 공간과 온라인 아카이브를 통해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가상 추모 프로젝트 (메타 하우스)
가상 추모(Virtual Memorial)” 프로젝트는 2019년 1월부터, 크메르 루즈(Khmer Rouge) 통치 하에서 벌어진 대규모 잔혹 행위를 추모하고 미래 세대 교육을 위한 상호작용 온라인 멀티미디어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실험적 음악 (2016)
본 저서는 동남아시아 음악과 소음/실험 음악가에 대한 광범위한 참고문헌(bibliography) 뿐 아니라, 정치, 역사, 사회학적 에세이 및, 예술가와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더 아세안 매거진(아세안 사무국)
더 아세안(The ASEAN)은 2020년 5월 처음 발행되었으며, 아세안 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안건과 새로이 부상하는 트렌드에 관한 이니셔티브와 파트너십을 포함하여 아세안 사회문화 공동체 발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계간지이다.


뛰 놀 수 있는 공간 만들기: 베트남 하노이(2021)
씽크 플레이그라운드(Think Playground)는 주로 건축가들로 구성된 자원활동단체다. 아이들이 뛰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단순한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욕망에서 시작된 이 단체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활동하고 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