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SEAN-KOREA
문화예술-산업동향


예술과 사회활동: 메콩 지역 연구(2021)
지역의 가장 큰 사회적 안건은 주거, 빈곤, 교육, 약물 사용, 가정 폭력 등이며, 이중 약물 사용은 매우 심각하여 지역 가구 중 98%가 약물 시장에 연류되어 있다. 교육도 오래된 문제이다.


프로듀서 랩: 이걸 이렇게 하면 어떨까? (2022)
프로듀서 랩: 이걸 이렇게 하면 어떨까?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독립 예술 관리자, 프로듀서, 자체 제작 아티스트 및 아티스트-프로듀서를 위해 Producers SG에서 조직한 전문 개발 프로그램으로 6개월간 시범적으로 운영되었다.


라오스 마을 도서관 영화교육 (2021)
라오스 북부에 위치한 루앙 프라방시에는 @My Library라는 이름의 2층짜리 작은 목조 건물로 된 도서관이 있다. 이 도서관은 2002년 캐롤 크레시지 (Carol Kresge)가 설립한 것으로 개도국인 라오스에 마을 도서관을 세우는 비영리 단체인


메콩 매핑 프로젝트 (2018)
지역의 이해 관계자들과 연결하고 배우면서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싶었기 때문에 MCH의 첫 번째 활동으로 메콩 매핑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생명력과 생존력 : 아시아의 예술 생태계 (2016)
ANCER의 비전은 캄보디아 생활 예술의 목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17년이라는 시간동안 우리는 캄보디아의 전통 예술 형식을 보존하는 데 전념하는 조직에서 전국적으로 활기차고 역동적이며 지속 가능한 예술 부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조직으로


체포된 예술: 아시아 예술적 자유 (2021)
아시아 지역 예술가들의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기관을 연결하고, 조율하고, 정보를 공유함과 동시에 예술적 자유를 위한 당면 과제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자 ARC, MCH, Forum Asia가 진행한 온라인 워크숍 진행 결과


빛바랜 필름 : 1960-1975 캄보디아 영화 (2022)
린다 사핀 박사의 이 책은 캄보디아 영화 초기의 국내 시각 및 대중문화를 다룬다. 1960년대에 캄보디아 전역에 여러 영화 제작사와 극장이 문을 열면서 영화 산업은 황금기를 맞았다. 이때 400편 이상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