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시각 예술 아카이브(Indonesian Visual Art Archive, IVAA)는 문서 작업 및 답사를 통해 예술기록(art archive)를 적극적으로 수집하며, 족자카르타(Yogyakarta)의 물리적 공간과 온라인 아카이브를 통해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IVAA는 비영리기관으로, 정부가 별달리 인지하지 못했던 도시에서 대안 (예술) 활동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IVAA는 교육기관 파트너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예술을 통해 지식을 전파하는 활동에 마치 주석을 다는 듯, 상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IVAA는 세메티 아트 재단(Cemeti Art Foundation, 1995-2007)에서 시작한 비영리기관으로 도서관 및 연구협력기관일 뿐 아니라, 문서 및 예술기록(art archives)을 제공하는 센터로서 거듭나고 있다.
IVAA 온라인 아카이브(IVAA Online Archive)는 예술 종사자 간 관계를 이해하고, 독립 이전부터 오늘날까지의 예술 활동을 기록한 사진, 시청각 자료, 인쇄자료 등 서면∙구두∙시각 자료를 통해 인도네시아 시각 예술의 역사를 전달하고자 설립되었다. 일부 컬렉션은 @rsipIVAA 뿐 아니라 루마 IVAA 도서관(Rumah IVAA library)에서도 접할 수 있다.
IVAA 디지털 아카이브는 세메티 아트 재단(Cemeti Art Foundation, 1995-2007) 설립 이래 수집 및 제작된 모든 문서를 재등록하기 위해 처음 시작되었다. 우리는 예술 쇼/전시 자료, 관련 정보가 뒷면에 쓰여 있는 예술작품 사진, 서신, 원고, 신문 스크랩 등 잡동사니로 가득한 서류철 선반과 마주했으며, 자료가 엄청나기 많은 것은 아니었지만, 우리가 운영했던 소규모 임대 건물의 많은 공간은 확실히 차지했다. 우리는 대출도서관(circulation library)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예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다룰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했다. 우리의 구상은 인도네시아 현대예술의 역동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포괄적인 자료 목록 확보를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 목록에는 예술가/예술 종사자 명단, 예술공간/장소, 전시작품 제목, 글 제목 등의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어야 했다. 이를 위해, 우리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relational database schema) 뿐 아니라 디지털 객체(digital object)의 전자식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디자인했다.
설계, 시험, 마지막 공개의 전 과정에 거의 3년이 걸렸으며, 우리는 인도네시아 시각 예술 활동의 초기 단계까지 주제의 범위를 확장하려 노력하고 있다. 우리는 인도네시아 예술계의 연구 활동이 예술적 결과물의 가치를 입증하려는 시도에서 벗어나, 연구 활동 그 자체를 추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예술 역사를 소수의 “형식적(formalized)” 버전에 고착시키려는 시도는 끊임없이 계속될 것이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df50d3_482b7b9e1c1a4b9f8b77b3e170b2de39~mv2.png/v1/fill/w_657,h_434,al_c,q_85,enc_auto/df50d3_482b7b9e1c1a4b9f8b77b3e170b2de39~mv2.png)
우리는 IVAA가 인도네시아와 해외에서 예술계 및 학계와 함께 작업하는 연구 센터로써 지속 발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로써 인도네시아 예술 및 문화가 홍보될 뿐 아니라, 사회와 보다 밀접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IVAA 작업 진행 및 기록 활동(archiving activities)은 문화 기록 네트워크 프로그램(cultural archiving network program)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새로 등장한 예술 대중(art public)은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IVAA는 그 역할을 더 광범위한 예술 분야로 이동 및 확장시켜 예술계의 이해관계자, 사용자, 네트워크의 범위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가 중요하고 가치있는 진보라 생각하며, IVAA 역할이 미래에 어떤 방식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을지 기대하고 있다.
온라인 및 디지털 플랫폼이 기록 작업(archiving work)의 기반이기 때문에, IVAA는 작업 진전에 있어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 미디어와 ICT의 최근 발전은, 빠르게 성장하고 기동력 좋은 현대 사회에서 예술 문화 활동 및 담론을 발전 및 변화, 재적용(reuse)하는 과정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 및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IVAA 비전은 시각 예술의 발전 뿐 아니라, 지식 전파와 표현의 자유, 사회적 행동(social activism)에 예술계가 어떻게 전반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어와 ICT의 발전은 우리 작업에 있어 주요한 기여 요인 (contributing factor) 중 하나이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예술 문화 활동과 담론의 문서화 및 저장(관련 분석 및 교육 작업 포함)은 미래를 위한 지식생산의 문화/사회적 투자라는 관점에서 예술 문화 활동을 보다 발전시키고, 낭만주의와 엘리트주의, 근본주의가 여전히 팽배한 현 상황의 균형을 추구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와 기술은 또한, 점차 증대하는 근본주의의 위협에 직면한 사회에서 예술적 담론의 주류화(mainstreaming) 및 검열, 지나친 단순화(dumbing-down) 등을 부추기는 요인 중 하나로 종종 간주된다. 우리는 이러한 이슈에 대해 잘 알고, 현대와 미래 사회에서 미디어와 ICT가 어떻게 기능할 것인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평가할 뿐 아니라, 최신 상황에 대해서도 파악하고 있다. 네트워크는 예술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학자, 사서, IT 및 디지털 미디어 전문가와 공동체, 창의 산업 종사자, 정부 기관, 사회 문화적 활동가 등을 아우르는 사회 여러 영역을 포괄한다.
우리가 고수하는 비전은, 디지털 플랫폼과 공동체 참여 방식 및 프로젝트를 통해 기록(archive)과 자원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면서, 세계화와 공개 정보(open-source information)시대의 발전 속에서 예술을 표현의 자유 매개체로 활용하여 지식에 대한 개방된 접근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incca-ap.org 2015 by Selina Ha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