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아세안 지역 예술·문화 분야 모빌리티 펀딩 가이드
- hub asean
- 7월 4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7월 7일
ASEF culture360은 브루나이 다루살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을 대상으로 한 2024년 모빌리티 펀딩 가이드를 새롭게 발표하였다. 이 가이드는 국제 문화 교류를 위한 이동성 지원 기회를 맵핑한 자료로, 해당 국가의 예술가와 문화예술 관계자들을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모빌리티 펀딩 가이드는 2012년부터 On the Move와의 협력 아래 개발되어 왔다. 주요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아시아 지역 예술가 및 문화 기획자의 국제 이동을 지원하는 기존 펀딩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아시아 지역 내 국제 문화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기존 지원의 공백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후원 기관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는 예술가 및 문화 전문가를 위한 두 가지 형태의 이동성 기회를 소개한다.
아웃고잉(Outgoing) 기회 : ASEAN 지역에 거주하는 개인이 자국을 넘어 해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인커밍(Incoming) 기회 : 타 국가에 거주하는 개인이 해당 ASEAN 국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금을 의미하며, 해당 자금은 ASEAN 내 기관에서 제공한다.
이 가이드는 지역, 국가, 국제 차원의 공공 및 민간 펀딩 기관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기회를 포괄한다. 본 자료는 모든 자원을 하나의 문서에 집약하고자 하는 시도로 작성되었으나, 완전한 목록은 아니며 지속적으로 보완·갱신되고 있는 중이다.

2024 아세안 지역 예술·문화 분야 모빌리티 펀딩 가이드 다운로드 링크 :
메콩 지역에서 또는 메콩 지역으로의 이동에 관심 있는 독자들은 이 안내서를 읽어보아야 한다.
《국제 문화 교류를 위한 이동성 펀딩 가이드: 아시아 내 싱가포르편》은 싱가포르를 오가는 문화 프로젝트를 위한 지원금 개요를 제공한다. 이번 싱가포르 최신판에서는 대부분의 예술 및 문화 분야에 걸쳐, 국가별로 지원 가능한 펀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 중점을 둔 9개의 펀딩 출처가 포함되어 있다.
이 가이드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에서 정기적으로 확인 가능한 기회 만을 수록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항목들(오프라인에서만 정보를 제공하는 기금, 공모 형식이 아닌 폐쇄형 지원금, 일회성 혹은 단기 프로젝트 기반의 지원금 등)은 제외되었다. 또한 본 가이드는 2016년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되었기 때문에, 수록된 정보 중 일부는 현재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가이드는 싱가포르 맥락에서의 이동성 관련 펀딩 정보를 한 문서에 모으기 위한 시도로, 완전한 자료집이라기보다는 리서치를 위한 출발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모빌리티 펀딩 가이드를 읽는 방법에 대한 안내는 여기에서 확인
아시아유럽재단(Asia-Europe Foundation, ASEF) 과 온 더 무브 (On the Move, OTM) 는 2012년부터 ASEM(아시아유럽정상회의) 회원국 51개국을 대상으로 국제 문화 교류를 위한 이동성 펀딩 가이드 시리즈를 공동으로 제작해왔다.

싱가포르 기반 예술가 또는 문화예술 전문가 대상 싱가포르 내 지원금 정보
1. 지역사회개발위원회 (Community Development Councils, CDC)
WeCare Arts Fund@CDC: 이 기금은 사회복지기관이나 자조단체가 수혜자들과 함께 예술 활동(워크숍, 공연, 전시 등)을 기획하고 전문 예술가들과 공동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예술을 통한 포용성과 자존감 회복을 목표로 하며, 특히 소외되거나 지원이 부족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예술가나 문화예술 전문가 개인은 직접 신청할 수 없지만, 사회복지기관이나 자조단체와 협업하는 형태로 참여가 가능하다.
2. 싱가포르 국가예술위원회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Capability Development Grant: 싱가포르 예술·문화 분야 종사자들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는 기금이다. 개인, 기관, 단체 모두 신청 가능하며, 최대 12개월 이내의 전문 교육, 직무연수, 멘토링, 동료 학습 등 다양한 역량 강화 활동을 지원한다.
Market and Audience Development Grant: 국내외 관객, 후원자, 지지자와의 연결을 위한 시장 개발 및 관객 개발 활동을 지원한다. 마켓 리서치, 브랜딩·마케팅, 자료 개발, 해외 투어, 교류 방문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개인, 단체, 콜렉티브 모두 신청 가능하다.
※ 국가예술위원회는 이 외에도 Creation Grant, Presentation and Participation Grant, Production Grant , Research Grant 등 다양한 지원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제반 비용 또한 지원한다.
3. 싱가포르 국가유산위원회 (National Heritage Board Singapore)
Minor and Major Project Grants: 지역 공동체 유산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며, 예술과 문화를 포함한 프로그램, 행사, 전시 등이 해당된다.
Heritage Research Grant: 싱가포르의 국가 유산을 기록하고 보존하며, 지역과의 연계성을 탐구하는 연구를 장려한다. 대학, 싱크탱크, 유산 NGO,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하며, 학술 연구 실적과 싱가포르 유산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4. 토트보드(Tote Board)
Tote Board Arts Fund: 예술을 매개로 다양한 사회 집단 간의 연결을 돕고, 공동체 안에서의 예술 경험을 창출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의 문화적 다양성 이해, 예술에 대한 인식 제고, 공동체 정체성 및 조화에 대한 감사를 유도하고자 합니다.
국가 이동 및 국경 간 교류 외에 프로젝트 기반 비용을 지원하는 기타 국제 기금
1. 호주-ASEAN 위원회 (Australia-ASEAN Council)
Australia-ASEAN Council (AAC) grants: 호주와 아세안 국가 간 지식 교류와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혁신적 프로젝트에 종자 자금을 지원합니다. 공동체 접근이 강하고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목표로 하는 다국적 프로젝트를 장려합니다. 단, 신청자는 호주 국적이어야 하며 동남아 파트너와의 협업 증빙이 필요합니다.
2.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msterdam, IDFA)
IDFA Bertha Fund: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출신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다큐멘터리 제작과 국제적 진출을 지원합니다. 시각적 표현이 강한 작품을 우선하며, 신진 및 기존 창작자 모두를 지원합니다.
3.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Hubert Bals Fund: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중동, 동유럽 일부 지역의 독창적이고 긴급한 메시지를 담은 장편 영화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혁신적이고 재능 있는 감독들이 영화 완성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